분류 전체보기 (706)
사진 그리고 여행 (90)
사람이 있는 풍경 (11)
사진의 기본 (6)
분류안된 사진들 (6)
카메라 DSLR Gear (7)
리뷰 (116)
IT (151)
Design, Idea 제품 (128)
광고 디자인 (52)
운송수단 (32)
패션 영화 (45)
일상속의 이야기 (61)
  • Total
  • Today
  • Yesterday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2010. 7. 24. 12:11 IT/핸드폰
오래전 본 블로그에서 갤럭시S의 영국가격을 언급하면서 공급가 30만원대 후반을 예측했었다.  영국은 수입에 관련된 관세가 18%나 되고, 물건을 배송하기 위한 항공료 또한 만만치 않은 지역이어서 이러한 모든 것을 감안한다면  한국에서는 더 낮은 가격으로 통신업자에 공급되어야 한다.  정식대로라면 통신업자는 이러한 가격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가격을 산정하고 가격네고를 해야하겠지만 한국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  통신기업의 호구인 소비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납품받은 가격에 철저히 자기마진을 고려하고 가격을 책정하면 된다.  그래도 소비자들은 구입을 한다.  보조금 책정은 자유이니 많이 깍아주는 시늉을 하고, 때에 따라서는 제조사 프로그램을 얹어 놓고, 핸드폰 사용료 할인 프로그램까지도 감안한 소비자 가격을 만들면 된다.  외국에서 볼모 조건없이 한화로 소비자 가격이 50~60만원 선이라면 보조금 25만원, 제조사 프로모션 10만원, 요금할인 10만원 45만원을 더하면 95만원에서 105만원 소비자 가격을 책정해 놓으면 된다.  보통 FOB가격으로 해외무역을 하는 것이 기본이고, 각종 통관비용이 있기 때문에 외국과 동일한 소비자 가격보다 5만원 정도 비용이 들어가지 않는다고 본다면 한국에서의 소비자 가격은 9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에 책정된다고 보면 정확할 것이다.  물론 제조사 프로모션이 빠지면 80만원에서 90만원 선일 것이고, 국내에서 판매 시 생산업자가 주는 커미션을 감안한다면 줄긋고 또 다른 할인가격을 내놓는 상투적인 수법을 사용할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관점으로 경향신문이 기사를 냈다.  삼성이 내놓은 답변은 한국사람들의 악독한 채리피커 성향과 극악한 불평불만으로 인한 AS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라고 한다.  미국과의 차액은 표면상으로 35만원선이고 제비용을 감안한다면 40만원이 넘는 수준이라고 보면될 것이다.  AS비용으로 소비자에게 부담시키는 가격이 40만원이라는 주장은 터무니없다.  IT업계에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서비스비용으로 프로젝트 금액을 받는 업체는 없다.  정부관련 수주를 하면 10%도 되지 않고, 일반 기업도 마찬가지이다.  전산 장비인 서버의 경우 기본적으로 4시간안에 서비스를 직접 방문해서 운영이 가능하게끔 처리하고 서비스를 구입하면 서비스 기간동안 모든 부품을 무상으로 교체하지만 물건값에 해당하는 금액을 서비스 비용으로 받지는 못한다. 

물론 소비자 가격의 책정은 삼성만의 문제가 아니라 통신사와 결합된 문제이기 때문에 삼성만 욕할 수는 없다.  삼성은 뭐라고 할 수 없는 것이 기본이겠지만, 권장소비자가격이 붙어있는 박스는 상성이 제조해서 공급할 것임에 틀림없다.  암묵적으로 공범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만약 정말 이러한 가격으로 시장에서 판매되었다면 삼성핸드폰은 모두 덤핑제소를 받아야 할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핸드폰 가격으로 덤핑 조사를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보아서 미국의 수출가격이 항상 더 비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정부가 시장을 꼭 개방해야 한다면 국민들이 믿지못하는 육류가 아니라 해외 통신사에 시장을 개방해야 한다고 주장을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해외 통신사가 입성해서 단말기를 동시에 판매한다면 이러한 관행이 없어질 가능성이 열리기 때문이다.  물론 제조사 기존 통신사 다 들러 붙어서 윽박지르고 가격 조건 맞추라고 해서 담합할 가능성이 농후하고, 경력 위주로 사람을 뽑다보면 그 밥에 그 나물처럼 될 가능성이 높아서 꼭 개선되리라고 볼 수는 없지만, 적어도 경계는 할 것이라는 생각이다.

이번 삼성의 답변을 보면서 생각나는 것은 서비스 기간을 3개월로 줄이고, 아예 1+1으로 물건을 주고 서비스 없다고 하거나 서비스 팩을 구입하게 하는 것이 더 소비자에게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요즘 아이들 중에 핸드폰 3년 이상 쓰는 사람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도 없고, 약정이 2년이니 2년 뒤에는 버스폰 찾거나 신제품 찾아서 자동으로 통신사변경을 하는 상황이라면 2년간 새기계처럼 쓸 수 있게 아예 1+1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이 더 소비자를 위하는 길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정신차리고 정직한 장사를 통신사와 통신기기 제조업자가 하는 날이 올지 의문스럽다. 
서비스 안하면 인건비가 줄어드니 사진처럼 1+2을 하는 것이 오히려 정당할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  삼성, 엘지를 포함하여 통신사에 핸드폰 납품하는 기업체들에게는 모두 적용되는 일이니, 차기제품부터는 1+1 이나 1+2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Share |